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백과/건강지키미

폐기흉 폐기능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수술비용 얼마?

by 지키go 2025. 9.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건강을 지키는 건강지키미 지키go입니다 :)

오늘은 호흡기 질환 중에서도 갑작스럽게 발생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폐기흉과 폐기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특히 젊은 연령대에서도 나타날 수 있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폐기흉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까지 정리해드릴께요. 그럼 바로 시작해 볼까요?

 


폐기흉이란?

 

 

 

폐기흉은 흔히 "폐에 바람이 샌다"라고 표현을 많이 하시는데요. 의학적으로는 폐의 표면에 작은 구멍이 생겨서 공기가 흉강(가슴 안 공간)으로 새어 나가면서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폐는 풍선처럼 숨을 들이마실 때 부풀고, 내쉴 때 줄어들어야 하는데, 폐기흉이 생기게되면 바람이 풍선 안이 아닌 밖으로 빠져나가 버리기 때문에 폐가 충분히 부풀지 못하는데요. 이로 인해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이나 호흡 곤란이 나타나죠!


폐기흉이 생기는 원인

 

 

 

폐기흉은 크게 자발성과 외상성으로 나눌 수 있어요.

 

자발성 폐기흉

자발성 폐기흉은 특별한 외상 없이 발생하는 경우인데 주로 키가 크고 마른 젊은 남성에게 잘 나타난다고 합니다. 폐의 표면에 생긴 작은 공기주머니가 터지면서 공기가 새어나오는 것이 원인이죠!

 

외상성 폐기흉

외상성 폐기흉은 교통사고, 갈비뼈 골절, 혹은 의료 시술 중 흉부 손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요. 흡연, 만성 폐질환, 가족력 등도 폐기흉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증상 살펴보기

 

 

 

폐기흉은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으니 꼭 기억해두셨다가 빨리 알아차리는게 중요할것같아요.

 

  •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특히 한쪽에서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질 때
  • 숨을 깊게 쉬기 힘들고 호흡 곤란이 발생할 때
  • 심한 경우 입술이 파래지는 청색증, 어지럼증, 불안감이 동반될 때
  • 경미할 경우 단순 흉통으로 지나가기도 하지만, 재발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해요.

치료 방법

 

 

 

폐기흉의 치료는 크기와 증상 정도에 따라 달라져요.

 

작은 기흉

폐가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경우, 안정과 산소치료만으로도 회복이 가능합니다.

 

중등도 이상의 기흉

가슴에 흉관을 삽입해 새어나온 공기를 빼내고 폐가 다시 붙도록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재발성 기흉 혹은 심한 경우

흉강경 수술을 시행해 터진 부위를 절제하고, 흉막을 붙여 재발을 막는 시술을 합니다.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젊은 환자 중 재발을 경험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권유받는 경우도 많다고해요.


폐기흉 수술비용은 얼마?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비용일 텐데요.

 

흉강경 수술 기준으로 전체 비용은 약 300만~600만 원대 수준입니다. 하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에 실제 본인부담금은 수십만원 ~ 백만원대 정도로 줄어들 수 있어요. 입원기간, 수술 난이도, 병원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정확한 금액은 병원 상담을 통해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 속 관리와 예방 방법

 

 

 

폐기흉은 재발이 잦은 만큼 치료 후 생활 관리가 정말 중요한데요.

 

금연은 필수

누구나 아시다시피 흡연은 폐포를 약하시켜 재발 위험을 높입니다.

 

무리한 운동 피하기

초기 회복기에는 과격한 운동이나 비행기 탐승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정기검진

과거 기흉 경험이 있으시다면 정기적으로 X-ray나 CT검진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마치며

 

폐기흉은 갑작스러운 흉통가 호흡곤란으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회복이 충분히 가능해요. 특히 젊은 연령대에서 재발 위험이 높은 만큼 생활습관 관리가 꼭 필요합니다. 혹시 가슴 통증이나 호흡곤란이 느껴진다면 지체하지 말고 바로 병원을 방문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그럼 오늘의 건강 지키미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